운주사 일주문 전면
운주사 일주문 후면 현판
운주사 전경
화순운주사지일원(和順雲住寺址一圓)
•분야 예술·체육/건축
•유형 유적
•시대 고려
•성격 절터
•건립시기/연도 고려시대
•규모(면적) 면적 49만 7088㎡|지정면적 49만 7090㎡
•소재지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문화재 지정번호 사적 제312호
•문화재 지정일 1985년 4월 15일
•전라남도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용강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
면적 49만7088㎡. 사적 제312호. 지정면적 497,090㎡. 나지막한 야산협곡의 분지에 위치한 운주사지에는 반경 200m 범위내에 석불 70여 구와 석탑 12기가 유존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 도선(道詵)이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千佛千塔)을 쌓았다고 전하나 이에 대한 확실한 사료는 없고, 다만 ≪신증동국여지승람≫ 능성현조(綾城縣條)에 “雲住寺在千佛山寺之左右山背石佛塔各一千……(운주사재천불산사지좌우산배석불탑각1천……)”이라는 내용이 보인다.
또, 1632년(인조 10)의 ≪능주목지 綾州牧誌≫에도 이와 비슷한 기록이 보이고 있는데, 후미의 “雲住寺今廢(운주사금폐)”라는 기록으로 보아 1632년 이전에 한 차례 폐찰되었던 것 같다.
1984년 발굴조사 때 새로운 건물지와 각종 기와조각과 자기조각 등이 출토되어 운주사의 창건은 물론 천불천탑 조성을 규명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때의 출토유물은 고려초의 햇무리굽청자조각(2개)·순청자접시조각(20여개), 그리고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이다. 이 유물의 연대가 10, 11세기경으로 추정되어, 운주사의 창건이 고려 초기로 소급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 고려 중기의 상감청자 약 100여 조각, 14, 15세기경의 청자류 350여 조각이 출토됨으로써 운주사가 고려 중기에서 말기까지 매우 번창하였던 사찰이었음을 입증하였다.
특히, 홍치8년명(弘治八年銘, 1495)의 기와조각 출토는 운주사가 15세기 말에 크게 중창되었다가 그 뒤 정유재란으로 인하여 폐찰되었음을 알게 하였다.
운주사가 고려 중기 이후 번창하였음은 현존 유적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는데, 이곳에 산재한 석불·석탑이 12세기경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데다 고려시대의 지방적인 특색이 가장 잘 남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주사지는 불교미술사 또는 불교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예로 평가되고 있다.
* 내용출처 : 민족문화백과사전
운주사 와불
보물 제798호 운주사 원형다층석탑
보물 제797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和順 雲住寺 石造佛龕)
위치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불감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 그 규모가 작은 것이다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단독으로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인 예이다. 운주사에 산재한 다양한 형태의 석탑과 석불 중 석조불감은 골짜기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앞뒤로 각각 탑이 1기씩 있어 야외 불당의 주전불 구실을 하는 배치를 보이고 있다, 불감은 팔작형태의 지붕을 갖추고 그 위에 용마루 등이 조각되어 있는 목조건축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감실 내부는 남북으로 통하게 하여 불상 2구가 등을 맞댄 형태로 배치하였다, 이들 좌상은 단순화된 형태를 보이는데, 경직되고 도식적인 평면화 된 표현은 고려시대의 지방화 된 불상양식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에서는 거대한 석조불감을 만든 사례를 찾을 수 없으며, 등을 맞댄 쌍배불상 또한 유래가 없는 특이한 형식으로 주목된다.
운주사7층석탑
보물 제796호 운주사9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화순 운주사 광배석불좌상(和順雲住寺 光背石佛坐像)
위치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광배석불좌상은 운주사 석불 가온데 마애여래좌상과 함께 유일하게 광배가 표현된 좌상이다. 사다리꼴 판석에 조각된 광배는 두광과 신광의 구분이 없고, 불신 주변으로 선각에 의한 화염문을 음각하였다. 광배는 고부조된 불상에 비해 두께가 얇은 편이다. 불신은 광배에서 약간 도드라지게 표현 되었으며, 수인(손모양)과 코, 눈섭, 귀는 양갹하였다, 전체적으로 상호는 원만상이며, 눈에 비해 약간 높게 표현된 눈섭과 기다란 코, 두툼한 입술을 표현하고 있다. 귓바퀴가 묘사된 큰 귀는 눈섭 부근에서 입술 아래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운주사 광배 석불좌상은 석불군 가운데 드물게 광배가 표현돼있어 불상으로서의 가치와 형식을 갖추고 있다. 제작 시기는 양식적인 불상 표현을 보았을때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6호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和順雲住寺七層石塔)
위치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91-44
상자모양으로 다듬은 기단 위에는 원형의 1단괴임을 만들었고 그 위에 신라석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갖춘 탑신부가 자리 잡고 있다, 초층과 2층 탑신은 4매의 판석으로 되었고 각 면의 모서리에는 기둥형식이 조각되었다. 3층 이상의 탑신은 모두 1매석이며 각 면에는 우주가 모각 되었다, 각 층의 두툼한 지붕돌은 정교하게 잘 만들어졌고 추녀와 처마가 직선형으로 표현되었다. 상륜부는 유실 되었지만 비교적 단정하고 소박한 신라 전형양식을 계승한 우수한 석탑이다. 석탑의 높이는 9.6m로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문화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몽주와 임고서원(남한) 그리고 숭양서원[북한] (0) | 2013.07.16 |
---|---|
천리포수목원 (0) | 2013.06.23 |
함허당득통탑(涵虛堂得通塔) (0) | 2013.05.27 |
송 처자(宋 處子) 묘표 와 문인석 (0) | 2013.05.15 |
고려의 미소 윤왕좌 수월관음도 (0) | 2013.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