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

송 처자(宋 處子) 묘표 와 문인석

by 송산리 2013. 5. 15.

소재지 : 충남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 (거정터)
연월일 : 서기 1668년(현종 9년, 무신)
찬 자 : 송 준 길(宋 浚 吉 1606 ~ 1672)
서 자 : 송 준 길(宋 浚 吉)
비 신 : 높이 82cm. 폭 46cm. 두께 14cm.
자 경 : 전면 13cm. 음기 3cm
석 질 : 오석

광산 김씨 선산에 송 처자의 묘와 묘표가 있다, 송 처자의 묘표는 10살 나이에 요절한 처녀의 것이기에 주목이 간다, 동춘의 자매로서 후에 동춘이 세운 묘표이다, 이 묘표는 비신은 작지만 유명 서가의 찬 병서로 되어 있고, 보존 산태도 양호하며 팔작지붕 모양의 가첨석과 농대석을 갖춘 중요한 자료이다.
처자 송씨는 동춘의 누이로서 어려서 부터 자품이 뛰어나고 재주가 있었으며 정숙하여 육친의 총애를 받았다, 외가인 김운휘댁에 왔다가 임난을 만나 피란 길에서 질병을 얻어 요절하여 연산 김씨 묘역에 묻히게 되었다. 오라비인 동춘이 항상 애석하게 생각하고 오랜 세월 후에 묘표를 세운 것이다.

 

                                                          묘표 전면 處子 恩津宋氏 之墓(처자 은진송씨 의묘)

                                                                      

                                                                    묘표 전면  탁본   우측사진은 묘표 측면 탁본

 

 

 

 

                                                                                       송 처자(宋 處子) 묘표  후면(음기:陰記)

 

                                                                   묘표 후면  (탁본).   우측사진은 묘표 측면 (탁본)

 

 

 

                                                                                       송 처자(宋 處子) 묘표  측면 


                                                                                송 처자(宋 處子) 묘 전방 양옆에 세워진 문인석.

보통 문인석들은 크기가 150cm를 전후 하는데 이 문인석은 높이 98cm, 앞 폭 24cm, 몸통 둘레 93cm, 홀(직함)길이 19cm로 그   

규모가 아주 작아 앙증스럽다고나 할까 좀처럼 보기 드문 문인석이다.

 

                                                                                                           문인석 안면

                                                                                                      문인석 하단 정면

                                                                                                               문인석 우측면

                                                                                                       문인석 후면   

 

                                                                                                     문인석 좌측면

 

                              처자 은진송씨 묘 : 맨앞 작은 분봉 과 제단석 양옆에 문인석과 우측에 묘표

 

 

처자 은진송씨 묘표(處子 恩津宋氏 墓表)

 

(전면:前面) 處子 恩津宋氏 之墓(처자 은진송씨 의묘)

 

(음기:陰記)

슬프도다 여기는 우리 일찍 돌아 간 누이의 산소이다, 우리 송씨는 은진에서 왔는데, 증직 이조판서 이창과 증직 정부인 광산 김씨는 곧 우리 돌아가신 부모님이요, 증직 이조참판 응서와 증직 정부인 광주 이씨는 곧 우리 조부모요, 행 첨주 은휘와 숙부인 해주최씨는 즉 우리의 외조부모이다, 누이께서 만력 계미에 시골 집에서 낳았는데 낳아서부터 자품이 남보다 뛰어나 다르고 점점 배워 아는 것이 더하면서 더욱 닦고 닦아서 성품이 깨끝하고 정숙해서 더러운 자리에 잠시도 차마 앉지 못하니, 육친(부, 자, 형, 제, 부부)들이 귀하게 여기고 사랑하였다, 우리 어머니의 작은 아버지인 목사공 공휘와 그 부인인 단양 우씨는 누이를 데려다가 같이 살며 길렀다, 임진왜란에 목사공이 온 집안이 호서의 정산으로 피난을 갔었는데 그때 사계선생은 그 고을에 원님으로 있었다, 선생은 우리 어머니의 사촌오빠이다, 누이는 고을 관사에 있을 때 홍역을 만나 일찍 죽으니 나이 겨우 10세였다, 슬프도다 단명함이여 부모님이 그 때 회덕의 집에 계셔서 서로 죽음을 보지 못했으니 더욱 애석한 일이었다, 연산의 거정산에 묻으니 바로 우리 외조부모의 산소 밑이다, 그 후 70여년이 지난 숭정 병오년에 아우인 준길이 가서 그 무담을 살펴보니 이미 그 무너져 파손됨이 심한 것을 보고 더욱 오랜 세월이 흐르게 되면 분별 할 수 없을 것을 크게 염려하고 두려워하여 이에 흙을 쌓아서 봉분을 만들고 이어서 작은 돌을 세워서 기록하니 뒤 사람들은 밟지 말고 뭉게지 말지니라. 슬프다 내가 이미 일찍이 부모를 잃고 형제가 별로 없는 내가 그늘 막에 또 형제를 잃어서 독신이 된 남자로 신세가 비통하고 처량하여 인정과 도리가 애통하고 절박하다. 그러나 죽어서도 아는 것이 있다면 어찌하여 서로 지하에서 모이지 아니하겠는가, 다만 이것으로 스스로 위로하노라, 슬프고 슬프도다.

숭정 무신 정월 일.

아우 정헌대부 원임 의정부 좌참찬 겸 성균관제주 세자 시강 원 찬선 준길은 기록하고 쓰다

 

* 탁본 자료 및 해설은 국내 탁본의 권위자이신 조중헌(논산향토연구회 회장)선생님께서 제공하여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