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둔산충남도립공원에서 3월12일 촬영
복수초의 유래
복수초(福壽草)는 복(福)과 장수(長壽)를, 또는 부유와 행복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이른 봄 산지에서 눈과 얼음 사이를 뚫고 꽃이 핀다고 하여 ‘얼음새꽃’ ‘눈새기꽃’ 이라고 부르며, 중부지방에서는 ‘복풀’이라고도 부른다. 새해 들어 가장 먼저 꽃이 핀다고 하여 원일초(元日草)란 별호를 가지고 있는 복수초의 이른 개화 시기는 공교롭게도 음력 설 무렵과 일치하기도 한다.
해설출처 : 국립중앙과학관:야생화 과학관
복수초(福壽草)는 복(福)과 장수(長壽)를, 또는 부유와 행복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꽃이다. 이른 봄 산지에서 눈과 얼음 사이를 뚫고 꽃이 핀다고 하여 ‘얼음새꽃’ ‘눈새기꽃’ 이라고 부르며, 중부지방에서는 ‘복풀’이라고도 부른다. 새해 들어 가장 먼저 꽃이 핀다고 하여 원일초(元日草)란 별호를 가지고 있는 복수초의 이른 개화 시기는 공교롭게도 음력 설 무렵과 일치하기도 한다.
해설출처 : 국립중앙과학관:야생화 과학관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강할미꽃(강원도 정선) (0) | 2022.04.05 |
---|---|
대둔산충남도립공원3월하순에핀 야생화들 (0) | 2022.03.26 |
길마가지나무꽃, 너도바람꽃 (0) | 2022.03.14 |
노루귀(청색.홍색.흰색) (0) | 2022.03.14 |
노루귀, 너도바람꽃, 복수초 (0) | 2022.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