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

대둔산충남도립공원7월야생화

by 송산리 2021. 7. 31.

소엽맥문동, 무릇, 파리풀, 누리장나무, 등골나물, 2021년 7월29일 촬영

소엽맥문동(小葉麥門冬) 맥동(麥冬), 문동(門冬), 불사약(不死藥) 대둔산 충남도립공원 등산로 능선 군데군데에서 지난 7월17일 올해 처음으로 꽃몽우리를 만나고 7월29일에 올라 개화된 30여그루를 만났다 생약명은 맥문동(麥門冬)이며 백합과 여러해살이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모여나고 길이 10~35cm, 나비 2~4mm 안팎의 선형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위쪽이 부드럽게 구부러져 길게 늘어진다.
소엽맥문동 : 꽃은 7월말에서 8월초에 15cm~30cm 정도의 꽃대로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꽃줄기 끝에서 총상 꽃차례를 이루며 10개 정도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소엽맥문동 : 꽃줄기는 길이 7~12cm이며 편평하고 예리한 능선이 있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1~3cm이며 중앙 또는 꽃 밑에 마디가 있다
소엽맥문동 : 꽃턱잎은 댓잎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꽃부리는 지름 5mm 정도의 종 모양이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6개씩이며 꽃밥은 댓잎피침형이다.
소엽맥문동 : 열매는 10~11월에 둥근 장과가 달려 짙은 하늘색으로 익는다
소엽맥문동 : 특징 및 사용 방법 실겨우살이풀·겨우살이맥문동·좁은맥문동·긴잎맥문동이라고도 한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어 자라면서 새순이 나온다. 수염뿌리 끝이 땅콩처럼 굵어져 염주 모양의 혹이 생기는 것도 있다
소엽맥문동 : 관상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뿌리의 굵은 부분을 맥문동같이 약재로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무·오이풀·파를 금한다
소엽맥문동 : 효능 주로 호흡기· 심장 질환을 다스리며, 소화기 계통 질환에도 효험이 있다
소엽맥문동 : 관련질병: 감기, 강장보호, 기관지염, 당뇨병, 변비, 소갈증, 안구건조증, 유두풍, 유즙분비부전, 윤폐, 자양강장, 진정, 청심, 폐결핵, 해수, 해열, 허약체질. 소아질환 : 허약체질
소엽맥문동 : 해설 출처 : 익생양술대전(본초학 도감)
무릇 : 꽃말은 강한 자제력, 인내 (물구지, 야자고, 野茨菰, 전도초, 剪刀草, 흥거, 興渠 ) 백합과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뿌리에서 봄과 가을 두 차례에 걸쳐 나오는데 보통 2개씩 마주난다. 잎몸은 길이 15~30cm, 나비 4~6mm의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한데 약간 두꺼우며 자줏빛을 띠는 풀빛이고 털이 없다. 봄에 나온 잎은 여름에 말라 버린다.
무릇 : 꽃은 7~9월에 연한 자주색의 육판화가 달려 피는데 길이 20~5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길이 4~7cm의 총상 꽃차례로 발달한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5~12mm이다. 꽃턱잎은 길이 1~2mm이고 좁은 댓잎피침형이다. 6개인 꽃덮이 조각은 거꾸로 된 댓잎피침형으로서 옆으로 넓게 퍼지는데 연한 자주색이지만 뒷면은 색이 짙다. 수술은 6개인데 수술대는 가늘지만 밑 부분이 넓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타원형이며 잔털이 3줄로 돋는다.
파리풀 : 통화식물목 >파리풀과 >파리풀속인 여러해살이 풀로 높이는 70cm 내외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길고 박질(薄質)이며난 달걀모양 또는 삼각상 넓은 달걀모양이고 예두, 넓은 예저이며 길이 7-9cm, 나비 4-7cm로서 양면, 특히 맥 위에 털이 많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뿌리를 찧어 종이에 먹인 다음 파리를 잡기 때문에 파리풀이라 한다. 꽃은 7~9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이고 이삭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0-20cm로서 소형의 순형화(脣形花)가 밑에서부터 위를 향해 달리지만 점차 옆을 향하고 열매가 달리면 완전히 밑을 향한다. 꽃받침은 통상 순형이며 5개의 능선이 있고 길이 3mm이지만 성숙하면 5-6mm로 되며 뒤쪽 3개의 열편은 가시처럼 되어 다른 물체에 잘 붙고 까락은 길이 1.5mm이다. 꽃부리는 길이 5mm로서 순형이며 하순이 대형이고 2강수술이 있고 1개의 암술이 있으며 씨방은 1실이다
파리풀 : • 뿌리의 전즙(煎汁)은 파리 살충제로 쓰인다.• 전초(全草) 또는 근(根)을 老婆子針線(노파자침선)이라 하며 약용한다.①성분 :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다. 疥瘡(개창), 黃水瘡(황수창-황색 즙이 나오는 瘡(창)), 瘡毒(창독)의 감염에 의한 發熱(발열)을 치료한다.②용법/용량 : 뿌리는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르거나 혹은 가루를 만들어서 바른다
누리장나무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누리장나무속으로 분류되는 낙엽 활엽관목으로 2m정도로 자라며 꽃은 7~8월에 개화한다
누리장나무 : 꽃은 취산꽃차례는 나비 24cm로 새가지 끝에 달리고, 양성꽃이며 꽃부리는 지름 3cm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긴 타원형이고 흰색이다. 꽃받침은 홍색이 돌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7월 중순 ~ 8월 중순에 개화한다. 열매는 핵과로 둥근 모양이며 지름 6 ~ 8mm로 푸른색으로 익으며 붉은색의 꽃받침에 싸여있다가 밖으로 나출되며 9월 말 ~ 10월 중순에 성숙한다
누리장나무 :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점첨두, 예형 또는 절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8~20cm×5~13cm로, 뒷면 맥위에 털이 있고 희미한 샘이 산생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큰 톱니가 있고, 잎자루 길이는 3 ~ 10cm로 털이 있다
등골나물 :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으로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관화식물이다.
등골나물 : 꽃은 7-10월에 피며 원줄기 끝의 편평꽃차례에 달리고 총포는 원통형이며 길이 5-6mm이고 낱꽃은 5개씩이며 비늘잎은 2줄로 배열되고 바깥 것이 훨씬 짧으며 원두이다
등골나물줄기 : 잎은 밑부분의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쯤되면 없어지고 중앙부의 큰 잎은 마주나기하며 엽병이 짧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18cm, 나비 3-8cm로서 밑부분에 길이 1-2mm의 비교적 규칙적인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잎맥은 6-7쌍으로서 위로 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